반응형

전체 248

[파이썬 기초] print() 함수

파이썬 print()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는 파이썬 3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print() 함수는 가장많이 접하게 되는 함수입니다. 파이썬 개발환경을 셋팅하고 가장먼저 사용하는것도 print() 함수를 이용해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것이죠. 오늘 알아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자열 출력 2. 여러개의 문자열 출력 3. % 서식을 이용한 출력 1. 문자열 출력 print() 함수에 인자로 문자열을 주면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문자열은 쌍따옴표(") 나 홑따옴표(')를 사용하면 됩니다. 파이썬에서는 쌍따옴표와 홀따옴표를 동일하게 처리합니다. 중간에 홑따옴표를 넣어야 되는 상황이면 쌍따옴표로 감싸주고, 반대의 경우에는 반대로 하시면 됩니다. 위 예에서 쌍따옴표안에 다시 ..

IT 2018.11.02

[파이썬 기초] 파일 입출력(open(), write(), read())

1. 이론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게, 텍스트 파일을 정말 쉽게 처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파일생성, 읽기, 쓰기 작업이 단 몇줄만에 처리가 되는게 신기했었죠. 간단하게 예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dongdongfather' 라는 문자열이 저장된 'letters.txt' 파일을 만들어보겠습니다. f = open('letters.txt','w') f.write('dongdongfather') f.close() 정말 간단하죠? f = open('letters.txt','w') 이 문장이 실행되면 현재 디렉토리에 'letters.txt'파일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으면 파일을 열고 없으면 'letters.txt' 파일을 만듭니다. 두번째 인자인 'w'는 쓰기모드로 열겠다는 의미입니다. 모드 ..

IT 2018.10.29

[Mac] 스크린샷(Screenshot) 찍는 방법 및 기본 저장 폴더 변경

빨리보기 스크린샷 찍는 방법 1. 전체화면 1) command + shift + 3 키를 누른다 2) 바탕화면에서 스크린샷 된 이미지를 찾아쓴다 2. 부분화면 1) command + shift + 4 키를 누른다 2) 스크린샷 찍을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한다 3) 바탕화면에서 스크린샷 된 이미지를 찾아쓴다 3. 지정된 창 1) command + shift + 4 + space 키를 누른다 2) 카메라로 변한 마우스 포인터로 해당창을 클릭한다 3) 바탕화면에서 스크린샷 된 이미지를 찾아쓴다 스크린샷 저장 폴더 변경방법 1. terminal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계정명과 폴더명은 본인 맥의 내용으로 변경) >> defaults write com.apple.screencapture ..

IT 2018.09.28

[파이썬] 맥에서 파이썬 오라클 연동 오류(cx_Oracle.DatabaseError: DPI-1047: 64-bit Oracle Client library cannot be loaded)

빨리보기 1. oracle instant client 설치 2. oracle instant client 폴더 안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lib 폴더나 /usr/local/lib 폴더로 복사 3. 파이썬 프로그램 재실행 상세보기 파이썬의 PyQt5 패키지를 이용해서 윈도우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PyQt5의 튜토리얼을 참고하면서 그럭저럭 잘 진행이 돼 왔는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cx_Oracle 패키지를 이용해서 연결을 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계속 발생하더라구요 별로 어려운 문장도 아닌데, 64bit라는 것만 눈에 뙇 들어오더라구요. 그래서 아키텍처가 안맞나 싶어서 확인을 해봤습니다. python, anaconda, oracle instant cli..

IT 2018.09.21

[미국 주식] 고배당주 추가 매수

미국 배당주 투자를 시작한지 4개월 정도 돼가는것 같습니다. 첫 배당금을 받은지도 한달이 조금 지났네요. 주식투자에 크게 실패하고 나서 나름의 원칙을 가지고 투자하고 있습니다. 분산투자한다 주식과 현금의 비율을 5:5로 유지한다 15% 하락하면 손절매한다 분할매수, 분할 매도한다 ... 별건아니지만 그래도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첫 배당금 57,000원을 받고, 이대로 4번을 받으면 1년 배당금이 20만원정도 밖에 안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머지 금액을 배당주에 투자하면 그래도 50만원 가까이는 받겠다 싶었죠. 욕심이 생긴거죠. 일주일을 넘게 고민하다가 어제 늦은밤에 나머지 금액으로 배당주를 매수했습니다. 먼저 현재 제가 가진 배당주를 추가매수하는 부분을 고려해봤습니다. [미국 ..

재테크 2017.03.10

레버리지(Leverage) 효과란?

레버리지란 말이 참 정리가 안돼서 정리한번 해보겠습니다. 영어로 Leverage는 지렛대를 의미하죠. 지렛대는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도구입니다. [ 지렛대 ] 그리스 철학자였던 아르키메데스는 "긴 지렛대만 있으면 지구를 들어보이겠다"라는 말을 했다고 하죠. 그만큼 작은 힘으로 큰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다는 얘길겁니다. 경제학에서 레버리지 효과는 이 느낌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핵심은 지렛대의 크기를 키워서 작은 힘으로 더 큰 효과를 본다는 것이죠. 레버리지란 차입금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할 때 1억원을 가지고 투자를 해서 20% 수익을 올렸다면 수익금은 2000만원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내가 2억원을 대출해서 총 3억원을 ..

재테크 2017.03.03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이전 블로그에서 전세를 싫어한다고 얘길했었습니다. 전세금을 날렸다는 뉴스를 너무 많이 봐서죠. 그런데 전세금관련 보험으로 전세금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찾은 후로는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보험으로 전세금 지키기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전세금보장신용보험 바로가기>> 전세금이 100% 보장만 된다면 지금 같은 저금리에 전세만한게 없죠. 그래서 요즘은 전세를 알아보면서 전세자금 마련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있습니다. 저희부부가 아직 15개월차 신혼부부인데, 신혼부부 전세대출제도가 있다고 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이라고해서 신혼부부만을 위한 전세대출제도가 있는건 아니고,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는 버팀목 전세자금에서 신혼부부에 대한 우대사항들이 있어서 그렇게 불리는것 같습니다. 핵심적인 내용을..

재테크 2017.03.02

홈페이지 변경 알림 창제거 - 네이트온과 알툴즈의 기본페이지 싸움

익스플로러를 쓰다보면 어떤때는 초기화면이 네이트였다가 또 어떤때는 ZUM 이었다가 합니다. 할일도 바쁜데 초기화면이 어느거면 어떠랴 싶어서 그냥 놔뒀었습니다. 내가 가고 싶은 곳은 주소창을 쳐서 옮겨가면 되니까요. 근데 오늘 아침에는 컴퓨터를 껐다가 켰더니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변경을 해도 되고, 변경안함을 해도 되지만 변경안함 버튼이 누르기 편해서 변경안함 버튼을 눌렀습니다. 그런데도 계속 저 화면이 뜨는거죠. 보통은 저런창이 뜰때, 나 어디에서 개발한 어떤 프로그램인데, 알수없는 프로그램이 네 기본홈페이지를 바꾸려고 해. 바꿀래 말래? 이렇게 뜨는데, 이 창은 그런 내용도 없네요. 창 자체만 보면 이 창이 악성코드인줄... 어쨌든, 업무하는데 방해되니까 이 창부터 처리해야 될 것 같습니다. 매번 ..

IT 2017.03.02

예금 확실히 지키는 방법 예금자보호제도

기업이 파산하면 다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쓰면 되기때문에 별다른 충격을 느끼지 못합니다. 현대상선이 망했다고 해서 우리에게 당장 큰일이 생기진 않죠. 그럼 은행이 파산하면 어떨까요? 이 역시 내가 거래하지 않는 은행이라면 별문제 없겠지만, 내 주거래은행이라면 열일 제쳐두고 은행으로 달려가야 할겁니다. 그만큼 은행이 파산한다는것은 가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일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은행이 파산했을때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마련해 둬야 혼판이 커지는것을 막을 수 있겠죠? 그래서 등장한 것이 예금자보호법입니다. 예금자보호법은 예금보험제도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를 명시해 놓은 법입니다. 예금보험을 이용해서 예금을 보호하겠다는 거죠. 원리는 간단합니다. 은행에서 예금에대한 보험금을 예금보험공사로 납부하고, ..

재테크 2017.02.26

P2P 투자

전통적인 대출은 투자자와 대출자가 은행을 통해 대출을 해주고, 이자수익을 받습니다. 예금자든 대출자든 은행하고만 거래를 하기 때문에 대출자에게 원리금 상환에 문제가 생겨도 예금이자를 지급받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미상환 금액이 너무 커서 은행이 망하는 경우엔 문제가 발생하겠지만요. [대출자가 원리금 상환을 하지 않아도 예금이나 이자를 받는데 문제 없음] 은행을 이용하는게 안전하긴 한데, 은행을 가운데 두고 거래를 하게 되면 약간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금자의 경우에는 예금이자가 쥐꼬리만해서 투자수익률이 낮을거고, 대출자 입장에서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려면 조건이 까다로워서 빌리기가 힘들게 되는거죠. 그럴경우에 사람들은 사채를 사용하게 됩니다. 돈을 빌리는 사람은 은행보다 좀 수월하게 돈을 빌릴..

재테크 2017.02.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