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용어 2

IT 전공자의 IT회의 울렁증 극복기

대학시절 난 노는 것에 진심이었다. 매일 오늘은 어떻게 놀까만 고민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전공 공부는 늘 뒷전이었다. 내가 얼마나 아는 것이 없는지는 비전공자인 고등학교 친구들을 만나면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IT전공자였던 나보다 걔네들이 아는 전공용어가 훨씬 많았으니까. 그래도 그때는 별생각이 없었다. IT 쪽으로 취업할 생각이 없었으니까.(그냥 취업에 대해 아무 생각이 없었던 것 같기도 하다.) 문제는 내가 IT계통의 일을 하게 되면서 시작됐다. 나는 부서 직원들이 모이는 자리가 두려웠었다. 당시에는 부서 사람들끼리 으쌰으쌰 하는걸 제일 중요하게 여기던 시절이라 티타임이 많았다. 신변잡기에서 시작한 티타임은 전공에 대한 얘기로 확장됐고, 그때부터 지식 뽐내기가 시작됐다. 나름 얼리어답터라 불리던 ..

일상다반사 2023.02.04

Open API 란 무엇인가?

날씨 앱을 만든다고 가정해보자. 기상청이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건 아는데, 어디에서, 어떻게 어떻게 받아와야 할까? 이때 필요한 것이 API다 API는 기기 간이나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약속을 말한다. 아래와 같이 내가 날씨 자료를 주세요~라고 기상청 서버에 요청을 하면, 기상청 서버에서는 여기 있습니다하고 자료를 보내준다. 당연히 요청은 아래와 같이 코드로 해야 한다. 그러면 기상청에서 여기 있습니다 하고 json이나 XML 형식으로 내용을 전송해 준다. 그 정보를 보기 좋게 앱에 표현해 주면 된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은, 기상청 데이터가 아무나 쓸 수 있게 오픈이 돼 있어야 한다. 이렇게 접근할 수 있는 자료와 방식을 Open API라고 부른다. Open API는 주로 국가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22.09.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