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43

레버리지(Leverage) 효과란?

레버리지란 말이 참 정리가 안돼서 정리한번 해보겠습니다. 영어로 Leverage는 지렛대를 의미하죠. 지렛대는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도구입니다. [ 지렛대 ] 그리스 철학자였던 아르키메데스는 "긴 지렛대만 있으면 지구를 들어보이겠다"라는 말을 했다고 하죠. 그만큼 작은 힘으로 큰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다는 얘길겁니다. 경제학에서 레버리지 효과는 이 느낌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핵심은 지렛대의 크기를 키워서 작은 힘으로 더 큰 효과를 본다는 것이죠. 레버리지란 차입금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할 때 1억원을 가지고 투자를 해서 20% 수익을 올렸다면 수익금은 2000만원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내가 2억원을 대출해서 총 3억원을 ..

재테크 2017.03.03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이전 블로그에서 전세를 싫어한다고 얘길했었습니다. 전세금을 날렸다는 뉴스를 너무 많이 봐서죠. 그런데 전세금관련 보험으로 전세금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찾은 후로는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보험으로 전세금 지키기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전세금보장신용보험 바로가기>> 전세금이 100% 보장만 된다면 지금 같은 저금리에 전세만한게 없죠. 그래서 요즘은 전세를 알아보면서 전세자금 마련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있습니다. 저희부부가 아직 15개월차 신혼부부인데, 신혼부부 전세대출제도가 있다고 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이라고해서 신혼부부만을 위한 전세대출제도가 있는건 아니고,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는 버팀목 전세자금에서 신혼부부에 대한 우대사항들이 있어서 그렇게 불리는것 같습니다. 핵심적인 내용을..

재테크 2017.03.02

홈페이지 변경 알림 창제거 - 네이트온과 알툴즈의 기본페이지 싸움

익스플로러를 쓰다보면 어떤때는 초기화면이 네이트였다가 또 어떤때는 ZUM 이었다가 합니다. 할일도 바쁜데 초기화면이 어느거면 어떠랴 싶어서 그냥 놔뒀었습니다. 내가 가고 싶은 곳은 주소창을 쳐서 옮겨가면 되니까요. 근데 오늘 아침에는 컴퓨터를 껐다가 켰더니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변경을 해도 되고, 변경안함을 해도 되지만 변경안함 버튼이 누르기 편해서 변경안함 버튼을 눌렀습니다. 그런데도 계속 저 화면이 뜨는거죠. 보통은 저런창이 뜰때, 나 어디에서 개발한 어떤 프로그램인데, 알수없는 프로그램이 네 기본홈페이지를 바꾸려고 해. 바꿀래 말래? 이렇게 뜨는데, 이 창은 그런 내용도 없네요. 창 자체만 보면 이 창이 악성코드인줄... 어쨌든, 업무하는데 방해되니까 이 창부터 처리해야 될 것 같습니다. 매번 ..

IT 2017.03.02

예금 확실히 지키는 방법 예금자보호제도

기업이 파산하면 다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쓰면 되기때문에 별다른 충격을 느끼지 못합니다. 현대상선이 망했다고 해서 우리에게 당장 큰일이 생기진 않죠. 그럼 은행이 파산하면 어떨까요? 이 역시 내가 거래하지 않는 은행이라면 별문제 없겠지만, 내 주거래은행이라면 열일 제쳐두고 은행으로 달려가야 할겁니다. 그만큼 은행이 파산한다는것은 가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일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은행이 파산했을때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마련해 둬야 혼판이 커지는것을 막을 수 있겠죠? 그래서 등장한 것이 예금자보호법입니다. 예금자보호법은 예금보험제도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를 명시해 놓은 법입니다. 예금보험을 이용해서 예금을 보호하겠다는 거죠. 원리는 간단합니다. 은행에서 예금에대한 보험금을 예금보험공사로 납부하고, ..

재테크 2017.02.26

P2P 투자

전통적인 대출은 투자자와 대출자가 은행을 통해 대출을 해주고, 이자수익을 받습니다. 예금자든 대출자든 은행하고만 거래를 하기 때문에 대출자에게 원리금 상환에 문제가 생겨도 예금이자를 지급받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미상환 금액이 너무 커서 은행이 망하는 경우엔 문제가 발생하겠지만요. [대출자가 원리금 상환을 하지 않아도 예금이나 이자를 받는데 문제 없음] 은행을 이용하는게 안전하긴 한데, 은행을 가운데 두고 거래를 하게 되면 약간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금자의 경우에는 예금이자가 쥐꼬리만해서 투자수익률이 낮을거고, 대출자 입장에서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려면 조건이 까다로워서 빌리기가 힘들게 되는거죠. 그럴경우에 사람들은 사채를 사용하게 됩니다. 돈을 빌리는 사람은 은행보다 좀 수월하게 돈을 빌릴..

재테크 2017.02.18

보험으로 전세금 지키기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전세금보장신용보험

10년째 부동산 폭락론을 지지해 왔습니다. 뭐 눈에는 뭐만 보인다고, 경기가 좋다는 뉴스는 안보이고, 폭락한다는 기사만 눈에 쏙쏙들어오더군요. 그래서 지금까지 집을 못가졌죠. ㅜㅜ 게다가 저는 전세를 싫어합니다. 차라리 월세를 더 선호합니다. 그래서 지금도 보증금 5000만원에 월 50만원짜리 월세를 살고 있습니다. 재테크의 관점에서 보면 빵점입니다. 저금리 상황에서 은행대출을 받아서 전세를 사는게 훨씬 이득이니까요. 제가 월세를 선호하는 이유는 불안정성 때문입니다.(제 버릇 개주나요?) 임대인이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고 그렇게 큰 돈을 맡겨두는것도 불안하고, 전세가보다 매매가가 낮아지는 깡통전세도 불안합니다. 너무 비관적으로 생각하는건지 모르지만, 제 재산의 거의 대부분인 전세금을 떼이게 되는 상황이 되..

재테크 2017.02.15

LTV 와 DTI

1. LTV(Loan To Value ratio) : 담보인정비율 LTV는 은행에서 대출을 해줄 때 담보물의 가격에 대해 인정해주는 금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우리나라에서는 아파트 대출 시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아파트가 3억일 경우에 LTV가 60%라고 하면 3억원에 대해 60%, 즉 1억 8천만원까지만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는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할 경우 담보물(아파트)을 처분하여 대출금을 충당하게 되는데, LTV가 적정수준이어야 담보물(아파트)을 처분한 금액으로 대출금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습니다. 3억짜리 아파트가 경매로 나오면 최소한 2억원선에서는 낙찰이 될거라고 보기 때문에 은행대출금액은 충분히 회수할 수 있는거죠. 2. DTI(Debt-To-..

재테크 2017.02.15

[미국 주식] 처음으로 받은 배당금

작년 10월에 투자했던 미국 주식이 드디어 배당금을 보내왔습니다~ ^^ 우리나라 배당주는 보통 1년에 한번씩 배당금을 주기때문에 기다리는게 너무 힘들었는데, 미국은 분기마다 배당금을 지급하니 배당금 받는 기분이 쏠쏠하네요. 앞으로 떨어질때마다 조금씩 추가매수해서 배당수익률을 높이려고 합니다. 저는 총 4개의 회사에 투자를 했습니다. AT&T, 버라이존, 필립모리스, 키메라인베스트먼트 이렇게 네곳입니다. AT&T, 버라이존, 필립모리스는 선도기업이면서 고배당주이죠. 구글 파이낸스에 가면 지난 배당정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저기 "D"라고 표시된 부분이 배당금을 지급한 부분입니다. 마우스를 갖다대면 어느날짜에 얼마만큼의 배당금을 줬는지 나타납니다. 꾸준하죠? 거기다 그래프도 괜찮네요. 버라이존 역시 꾸준합니..

재테크 2017.02.13

내 퇴직금은 얼마나 될까??

비교적 큰 회사나 공무원의 경우에는 퇴직 시 따로 말하지 않아도 알아서 퇴직금을 잘 챙겨줍니다. 그러나 영세 업체의 경우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4대보험의 경우는 납부를 하지 않으면 독촉장이니 뭐니 해서 압박이 오기때문에 챙길수가 있는데, 퇴직금은 직원이 퇴직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생기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액 역시 만만치 않기 때문에 퇴직금 지급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한다든지, 직원을 운용할 때 퇴직금 지급 대상이 되지 않도록 피해가면서 채용하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오늘은 어떤 상황에서 퇴직금을 받을 수 있고, 얼마까지 받을 수 있으며, 퇴직금 지급을 거부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직금 관련 법률은 "근로..

재테크 2017.02.11

[오라클/함수] 두 날짜 사이의 월 수 구하기 MONTHS_BETWEEN

Syntax Purpose 두 일자사이의 개월 수를 구하는 함수. date1 - date2 의 값이 리턴되므로 date1의 날짜가 클 경우에는 양수, date2의 날짜가 클 경우에는 음수가 리턴됩니다. 정수 뒷부분에 소숫점 부분은 1개월을 1로 봤을때 얼마의 크기인지를 보여주는 값입니다. Examples 아래의 예제는 오늘이 제가 태어난 개월 수를 구하는 예제입니다. 오늘 날짜와(SYSDATE) 제 생년월일(1976-12-14)을 인자로 주면 481개월이라는 값이 리턴됩니다. 값이 작은 제 생년월일에서 값이 큰 오늘 날짜를 빼게되면 아래와 같이 마이너스 값이 나타나게 됩니다.

IT 2017.0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