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int 2

[파이썬 기초] print() 함수에서 % 와 format()를 사용하여 서식에 맞게 출력(1)

%와 format()함수는 문자열을 형식에 맞게 출력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int() 함수와 같이 사용을 많이 하기 때문에 print()함수 출력법에서 자주 설명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를 사용했으나, format()을 사용하는것이 더 직관적이기 때문에 format()을 더 권장하고 있습니다. 예제를 살펴보면서 둘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순서대로 출력 문자열 'first'와 'second'를 출력하는 상황입니다. 인자로 ("first", "second")를 주면 순서대로 %와 {}에 매칭되어 출력됩니다. 2. 출력순서 조정 위 예제에서 인자는 ("first", "second")를 주고, 'second first'로 출력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쉽게도 %를 이용해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IT 2018.11.02

[파이썬 기초] print() 함수

파이썬 print()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는 파이썬 3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print() 함수는 가장많이 접하게 되는 함수입니다. 파이썬 개발환경을 셋팅하고 가장먼저 사용하는것도 print() 함수를 이용해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것이죠. 오늘 알아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자열 출력 2. 여러개의 문자열 출력 3. % 서식을 이용한 출력 1. 문자열 출력 print() 함수에 인자로 문자열을 주면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문자열은 쌍따옴표(") 나 홑따옴표(')를 사용하면 됩니다. 파이썬에서는 쌍따옴표와 홀따옴표를 동일하게 처리합니다. 중간에 홑따옴표를 넣어야 되는 상황이면 쌍따옴표로 감싸주고, 반대의 경우에는 반대로 하시면 됩니다. 위 예에서 쌍따옴표안에 다시 ..

IT 2018.11.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