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15분 완성] AI 챗봇 만들기(Streamlit + OpenAI API) - 3) API 키 생성

생각파워 2024. 8. 26. 05:24

 

2024.08.24 - [AI] - [15분 완성] AI 챗봇 만들기(streamlit + OpenAI API) - 1) 환경설정

2024.08.25 - [AI] - [15분 완성] AI 챗봇 만들기(Streamlit + OpenAI API) - 2) 챗봇 만들기

2024.08.26 - [AI] - [15분 완성] AI 챗봇 만들기(Streamlit + OpenAI API) - 4) 챗봇 완성!!

 

 

 

마지막으로 Open AI에 연결해서 GPT 모델들에게 질문을 던저 답변을 받아서 처리해보겠습니다.

Open AI의 GPT나 구글의 제미나이는 프로그램 개발에 상용할 수 있게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PI를 통해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습니다.

chatGPT를 사용하려면 구독료를 받듯이, API를 사용하려면 사용료를 납부해야합니다.

아래 표는 GPT-4o 모델의 사용료입니다.

입력 100만 토큰당 5달러, 출력 100만 토큰당 15달러라고 돼 있습니다. 

 

 

1. API key 발급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가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GPT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Open AI에 들어가서 키 발급을 받으면 됩니다.

https://platform.openai.com/api-keys

사이트로 접속해서 로그인합니다.

 

API 키 관리화면입니다.

우측 상단에 "Create new secret key" 버튼을 눌러 키를 생성합니다.

 

이런 팝업창이 뜹니다.

"Create secret key"를 눌러줍니다.

내용을 수정하고 눌러도 됩니다.

아래와 같이 API 키가 만들어집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지금 복사해놓지 않으면 계정에서 다시 키를 볼 수 없다고 돼 있네요.

키를 잃어버리면 새로 키를 만들어야합니다. 

 

"Copy" 버튼을 눌러 키를 복사한 후 VSC로 돌아가서 새 파일을 열어 키를 붙여넣습니다.

 

키가 유출됐다면 기존키를 삭제하고 새로 생성하면 됩니다.

 

 

이 키를 어떻게 사용할건지도 정해야합니다.

보통 스트림릿을 이용한 챗봇개발 예제를 보면, 스트림릿 사용예제를 보여주기 위해서 사이드바에 키입력화면을 만들어 사용하곤 합니다.

.env 파일에 넣어서 관리하거나, toml 파일로 저장해서 사용하기도 하죠.

스트림릿을 사용한 개발예제니까, 저도 스트림릿 기능을 조금이라도 더 보여드리는게 좋을 것 같네요.

사이드바에 넣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API키를 이용하여 GPT에게 질문을 하고, 답변을 출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내용이 마지막이 될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