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AWS 아마존 웹서비스] AWS 요금폭탄 피하기

생각파워 2016. 11. 10. 13:04
아마존 웹서비스(AWS)를 사용할때 가장 걱정이 되는 부분이 종량제 요금에 관한 부분입니다.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고 인스턴스까지 내려놨는데 요금폭탄을 맞았다는 글들이 심심치않게 올라옵니다.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를 따로 만들어 주면 좋으련만,
테스트 용도든 뭐든 사용량이 일정량을 넘기면 그때부터는 과금이 되는 상황이라

개인이 조심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AWS에서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티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프리티어 서비스 종류입니다. 주요 제품이 저렇게 5개고, 제품 전체로는 수십가지가 넘는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표에서 보시는바와 같이 EC2 인스턴스는 월 750시간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무료로 사용후에 유료로 넘어갈건지 물어보고 넘어가면 좋을텐데
그런거 없이 750시간을 넘기면 그냥 과금이 됩니다. 

저도 이제부터 AWS를 많이 이용해야 되기때문에,
요금폭탄을 피할 수 있는 팁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지 않을때는 명시적으로 종료

EC2 인스턴스 사용시간이 750시간이라고 돼 있습니다. 
사용시간이 750시간이라고 하면 내가 EC2 인스턴스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아쉽게도 이 사용시간은 EC2 인스턴스를 구동한 시간을 이야기 합니다. 
처음 접속해서 EC2를 실행한 다음, 계정을 로그아웃하면
EC2 인스턴스는 계속 실행되고, 그 실행된 시간이 사용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EC2 인스턴스를 테스트에 사용한 후에는 종료시켜서
사용시간을 넘기는 일이 없도록 해야합니다.

  1. 결제요금 알람 설정하기

1) 로그인 후 기본설정에서 '결제알람받기'를 선택한 후 기본설정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알람 메뉴에서 알람을 생성하면, 요금이 설정한 값에 도달하면 이메일로 알람이 날라옵니다. 
$1 정도로 설정값을 해놓으면 요금발생 시 바로 메일이 날라오겠죠?
AWS를 사용할 때는 해당 메일을 자주 확인해서 요금폭탄을 맞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이정도로 해놓으면 큰 문제는 없을것 같습니다. 
요금폭탄을 맞으신 분들을 보면 AWS를 사용하다가
한참동안 방치한 경우에 문제들이 발생을 하는것 같더라구요.

AWS 사용을 시작했으면 탈퇴하기 전까진 종종 확인을 해서
큰 문제로 발전하는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체크해야될것 같습니다.

참고로
요금폭탄을 맞으셨다는 분들 대부분은 아마존에 연락해서

좋게좋게 처리를 하셨다고 하니까 너무 겁먹지는 말아야겠습니다.


반응형